"Lean Startup"은 비즈니스 모델을 검증하고 제품을 빠르게 출시하는 방법론으로, 스타트업의 성공을 증가시키기 위해 많은 창업자들이 적용하고 있는 방법론입니다.
Lean: 군살을 뺀, 기름기가 없는
Startup: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조직
Lean Startup은 기업가들이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가능한 한 빠르게 피드백을 얻고, 제품을 테스트하고, 필요한 경우 피벗하면서 발전시키는 방법론입니다. 이는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와 같은 방법론과는 달리 빠른 실패와 반복적인 개선을 통해 초기 단계의 비용과 위험을 최소화하려는 것입니다.
Lean Startup의 핵심은 아이디어를 검증하고 피드백을 수집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스타트업은 가설을 세우고, 작은 실험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스타트업은 핵심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제품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Lean Startup 방법론에서는 MVP (Minimum Viable Product) 라는 개념도 중요합니다. MVP는 최소한의 기능을 가진 제품으로, 초기 단계에서는 이것을 출시하여 고객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제품을 발전시키는 것입니다.
Lean Startup 단계:
- 1단계 : Problem/Solution Fit
- 2단계 : Solution/Market Fit
- 3단계 : Scale Up
Lean Startup 1단계 - Problem/Solution Fit
문제와 해결방안(Idea)의 최적화(Fit)를 찾는 과정
- 적시한 문제와 제시하는 솔루션이 부합하는가?
- 당신이 정의한 고객이 반드시 필요로 하는 솔루션인가 (Must-Have?)
-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가? (Feasible?)
- 당신이 제시하는 솔루션이 그 문제를 해결해 주는가?
- 실제 고객 인터뷰 및 MVP(Minimum Viable Product) 개발
MVP 사례:
- Groupon: 1층 피자가게 쿠폰, 블로그(워드프레스)
- Dropbox: 3분짜리 컨셉 동영상
- Zappos: 동네 신발가게 사진
- Facebook: Harvard Univ. 학생 얼굴비교
- 카카오톡: 단순한 메시지 전송(+ 전화번호 자동추가)
- 카닥: 사진 업로드 모바일 웹 (1일 제작 소요)
Lean Startup 2단계 - Solution/Market Fit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과 시장과의 궁합을 찾는 과정 (고객개발과 실험 단계)
- Problem/Solution Fit이 되었다고 해도 유의미한 시장이 존재하는가?
- 존재하기는 하는 시장인가? 사이즈, 시장 Dynamics, 성장률 등은?
- 그 시장에서 유의미한 고객을 찾을 수 있는가?
- 고객이 기꺼이 사려고(사용하려고) 할까?
- 고객의 지불 임계점(Tipping Point)?
Lean Startup 3단계 - Scale Up
성장하고, 이익 내고, 안정적인 비즈니스 구축 단계
- 기술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지 않음
- 초기 팀 불화 해결, 마케팅, 프로모션 전략 등도 중요함
- 우수 인력을 어떻게 끌어들이고, 유지시키느냐
- 제품/서비스의 시스템화, 프로세스화는 어떻게?
- 결국 이런 것들이 쌓여 팀문화/기업문화로 정착되는 게 중요
Lean Startup은 대규모 기업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과 개인 창업자에게도 매우 유용한 방법론입니다. 이 방법론은 스타트업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면서 제품을 개발하고 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더 나은 제품을 개발하고 마케팅 전략을 개선하여 비즈니스를 성공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Lean Startup 방법론은 현재 스타트업 커뮤니티에서 매우 인기 있는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론을 적용하면 스타트업이 효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때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